도연차문화원

도연차문화원




연       혁
  • 2017년 11월 12일

    설립

목       적

본 단체는 ‘도연차문화원’이라 하고 한문표기는 ‘道然茶文化院’ 이라 하며, 영문 명칭은 ‘Doyeon tea Cultural Center’라 칭함.
본 단체는 국제도덕협회(일관도) 교육원 일관대학 소속 비영리 단체로써 대한민국 차문화의 학술 연구 및 국제 교류와 한국 전통 차문화 및 전통예절을 통하여 도연차문화 회원들의 심신을 수련하고, 지도력 배양하며, 지역 사회 문화발전과 대한민국 차문화 정신의 가치관를 확립하고 차문화를 통한 우리나라 전통문화예절을 현대 사회속에서 다반사로 구현함을 목적으로 함

① 차문화예절 교육
② 차문화 및 전통 예절 보급을 위한 캠페인 활동
③ 회원 간 교류를 통한 차문화 보급 및 교류 사업
④ 회원들의 차문화 및 전통예절 교육, 연수, 세미나 및 워크숍 등 교육 사업
⑤ 국내·외 차문화 및 한국 전통예절 교육 보급
⑥ 국내·외 지역민들과 차문화를 통한 봉사와 유대 관계 형성
⑦ 기타 본 단체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사업

부       서

① 이사장: 도연차문화원장(이사장)은 본 단체를 대표하여 제반 업무 총괄
② 이사회: 단체의 업무에 관한 사항을 심의·의결
③ 상임이사: 이사회의 심의, 의결 사항과 이사장으로부터 위임받은 사항집행
④ 사무총장: 상임이사을 보좌하며 본 단체의 업무 및 직원을 관리·감독
⑤ 감사: 본 단체의 제반 업무 감사

회       원

① 회원은 본 단체의 목적에 동의하고 이를 실천할 의지가 있는 단체 및 개인으로 한다.
② 회원은 본 단체의 목적에 찬성하고 회원 가입절차를 마친 단체 및 개인으로 한다.
③ 회원 가입에 있어 개인 또는 단체의 국적, 성별, 연령, 종교의 차이를 두지 않는다.

활       동

□ 2019년 9월~: 일관대학 졸업생 도연차문화원 지도자 자격증 수여

교육과정 소개
  • ○교육기간 : 2025.08.01.~2026.01.30.
  • ○교 육 : 주1회 2시간씩, 교육비 : 60만원
  • 순번 교육주제 교육내용 교육시간
    1 다도의 기원과 역사(1) 다도의 기원과 역사적 내경을 학습하고 , 차문화의 변천 과정 2
    2 다도의 기원과 역사(2) 다도의 기원과 역사적 내경을 학습하고 , 차문화의 변천 과정 2
    3 한국 다도의 특징과 철학(1) 한국 다도의 철학적 배경와 특징을 살펴보고, 전통과 현대의 연결점 분석 2
    4 한국 다도의 특징과 철학(2) 한국 다도의 철학적 배경와 특징을 살펴보고, 전통과 현대의 연결점 분석 2
    5 동아시아 다도의 비교(1) 중국, 일본과 비교하여 한국 다도의 차별성 2
    6 동아시아 다도의 비교(2) 중국, 일본과 비교하여 한국 다도의 차별성 2
    7 다도의 기본 원칙(1) 다도의 기본 원칙(조화, 존중, 순리, 배려)이해 2
    8 다도의 기본 원칙(2) 다도의 기본 원칙(조화, 존중, 순리, 배려)이해 2
    9 차의 기본 재념과 정의(1) 차의 정의 및 기본 개념 정리(녹차, 홍차, 우룡차 등) 2
    10 차의 기본 재념과 정의(2) 차의 정의 및 기본 개념 정리(녹차, 홍차, 우룡차 등) 2
    11 다도의 정신과 태도(1) 다도를 수행하는 기본적인 태도와 마음가짐 배우기 2
    12 다도의 정신과 태도(2) 다도를 수행하는 기본적인 태도와 마음가짐 배우기 2
    13 차문화의 사회적 역할(1) 차 문화가 사회적으로 미치는 영향과 역할 학습 2
    14 차문화의 사회적 역할(2) 차 문화가 사회적으로 미치는 영향과 역할 학습 2
    15 차와 종교의 관계(1) 차와 불교, 유교, 도교등 종교와의 관계 연구 2
    16 차와 종교의 관계(2) 차와 불교, 유교, 도교등 종교와의 관계 연구 2
    17 다도의 현대적 해석(1) 다도의 현대적 가치와 응용 방법 탐구 2
    18 다도의 현대적 해석(2) 다도의 현대적 가치와 응용 방법 탐구 2
    19 다도와 명상(기초)(1) 차와 명상의 연관성을 이해하고, 다도 명상 실습 2
    20 다도와 명상(기초)(2) 차와 명상의 연관성을 이해하고, 다도 명상 실습 2
    21 다도와 윤리의식(1) 다도의 윤리적 측면과 공동체 생활에서의 역할 분석 2
    22 다도와 윤리의식(2) 다도의 윤리적 측면과 공동체 생활에서의 역할 분석 2
    23 다도의 실천 방법(1) 일상에서 다도를 실천하는 다양한 방법 소개 2
    24 다도의 실천 방법(2) 일상에서 다도를 실천하는 다양한 방법 소개 2
  • ○담당자: 일관대학 도연차문화원 대표 강오숙, e-mail : ilgwandogad@hanmail.net
도연차문화원 교육영상